홈으로 > 미디어・뉴스 > KBO 보도자료

KBO 보도자료

KBO 리그, 정규시즌 누적 관중 2억명 달성

- 1982년 출범 이후 44번째 시즌에 2억 관중 돌파

- 2011년 1억 관중 달성 이후 14시즌만에 달성

- 정규시즌 2만 3,511경기에서 평균 8,507명 관중 기록

 

2025. 9. 12. (금)

 

KBO 리그가 출범 마흔 네 번째 시즌에 정규시즌 누적 관중 2억명을 달성했다.

 

KBO 리그는 출범 첫 해인 1982년부터 지난 해까지 치러진 정규시즌 2만 2,860경기에서 누적 1억 8천 884만 1,044명으로 2억 관중 달성까지 1천115만 8,956명을 남겨두고 2025 시즌을 맞이했다. 어제 9월 11일(목)까지 1천115만9,737명의 관중이 입장하며 정규시즌 누적 2억 781명을 기록했다

 

KBO 리그는 1982년 3월 27일 ‘어린이에게 꿈을, 젊은이에게는 정열을 그리고 모든 국민들의 선량한 여가선용을 위하여’라는 슬로건으로 화려하게 출범했다. 출범 원년인 1982년 6개 구단 체제로 치러진 240경기에 143만 8,768명의 관중이 야구장을 찾아 성공적인 시작을 이뤄냈다. 이듬해인 1983년에는 225만 6,121명으로 한 시즌만에 200만명을 돌파했고, 이후 1990년 300만, 1993년 400만, 1995년 500만 관중을 잇달아 달성하는 등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며 국민 스포츠로서 자리 매김했다.

 

199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 중반까지의 정체기를 거쳐 2006 WBC 4강 진출, 2008 베이징 올림픽 금메달 획득 등 국제대회에서의 선전으로 다시 팬들의 많은 관심을 받기 시작했다. 2008년에는 1995년 이후 13년만에 500만 관중을 회복했고, 2011년 600만, 다음해인 2012년 700만 관중을 달성하는 등 폭발적인 관중 증가에 힘입어 제2의 전성기를 구가했다.

 

2015년에는 10개 구단 체제가 갖춰짐에 따라 경기 수의 증가와 함께 두터운 팬층을 형성하며, 3년만에 700만 관중을 다시 달성한데 이어 2016년에는 첫 800만 관중을 달성했다.

 

2020년부터 2022년까지는 코로나 19 감염증 유행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 입장 인원 및 육성 응원 제한 등으로 잠시 주춤했으나, 이후 본격적인 일상 회복이 이뤄지며 팬들도 다시금 야구장으로 발길을 옮기기 시작했다.

 

2023년에는 5년만의 800만 관중 달성으로 다시 한 번 도약의 발판을 마련했고, 2024년에는 ABS 도입, 온라인상 영상 콘텐츠 제작 허용에 따른 효과 등이 기폭제가 되어 사상 첫 1천만 관중을 달성했다. 2025년에도 기세를 이어 2년 연속 1천만 관중 달성과 함께 9월 5일(금)에는 지난 해 기록한 최다 관중 기록을 1년 만에 경신한 바 있다.

 

1억 관중을 달성하기까지 13,767경기(2011년 7월 21일)가 소요된 반면, 1억에서 2억 관중 달성까지는 팀 확장에 따른 경기 수 증가와 신축 구장 개장에 따른 수용 인원 증가, 인기 상승 등에 힙입어 9,744경기만에 달성 되었다.

 

KBO는 앞으로도 더욱 많은 팬들이 야구장을 찾고 즐길 수 있도록 적극적인 팬 퍼스트의 실현, 인프라 개선, 팬 친화적 정책 설계 등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일 예정이다.

 

* 붙임. 1. 연도별 관중 현황(1982~2025)

* 붙임. 2. 구단별 누적 관중 현황(1982~2025)

* 붙임. 3. 연도별 최다 관중 TOP5

* 붙임. 4. 숫자로 보는 KBO 리그 2억 관중

* 별첨. KBO 리그 누적 관중 2억명 달성 관련 인포그래픽

 

 

 

표1. 연도별 관중 현황(1982~2025.9.11)

연도

인원(명)/평균(명)

연도

인원(명)/평균(명)

2025

11,159,737

2003

2,722,801

(17,142)

(5,118)

2024

10,887,705

2002

2,394,570

(15,122)

(4,501)

2023

8,100,326

2001

2,991,064

(11,250)

(5,622)

2022

6,076,074

2000

2,507,549

(8,439)

(4,713)

2021

1,228,489

1999

3,220,624

(1,706)

(6,100)

2020

328,317

1998

2,639,119

(456)

(5,236)

2019

7,286,008

1997

3,902,966

(10,119)

(7,744)

2018

8,073,742

1996

4,498,082

(11,214)

(8,925)

2017

8,400,688

1995

5,406,374

(11,668)

(10,727)

2016

8,339,577

1994

4,194,428

(11,583)

(8,322)

2015

7,360,530

1993

4,437,149

(10,223)

(8,804)

2014

6,509,915

1992

3,912,092

(11,302)

(7,762)

2013

6,441,945

1991

3,825,409

(11,184)

(7,590)

2012

7,156,157

1990

3,189,488

(13,451)

(7,594)

2011

6,810,028

1989

2,883,669

(12,801)

(6,866)

2010

5,928,626

1988

1,932,145

(11,144)

(5,111)

2009

5,925,285

1987

2,019,675

(11,138)

(5,343)

2008

5,256,332

1986

2,141,112

(10,429)

(5,664)

2007

4,104,429

1985

1,688,365

(8,144)

(5,116)

2006

3,040,254

1984

1,664,720

(6,032)

(5,549)

2005

3,388,349

1983

2,256,121

(6,723)

(7,520)

2004

2,331,978

1982

1,438,768

(4,383)

(5,995)

합계

누적 관중

200,000,781

평균 관중

8,507

표2. 구단별 누적 관중(1982~2025.9.11)

구단

홈 경기 수

누적 관중(명)

MBC/LG

2,811

35,931,402

롯데

2,814

31,939,590

OB/두산

2,812

30,347,798

삼성

2,810

21,251,349

해태/KIA

2,805

18,709,403

SK/SSG

1,763

18,335,809

빙그레/한화

2,617

14,704,807

우리/넥센/키움

1,245

8,513,874

KT

786

6,258,829

NC

910

6,248,259

삼미/청보/태평양/현대

1,568

6,339,786

쌍방울

570

1,419,875

합계

23,511

200,000,781

 

표3. 연도별 최다 관중 TOP5

구분

연도

누적 관중(명)

비고

1

2025

11,159,737

9.11 현재(진행 중)

2

2024

10,887,705

 

3

2017

8,400,688

 

4

2016

8,339,577

 

5

2023

8,100,326

 

 

표4. 숫자로 보는 KBO 정규시즌 2억 관중

구분

내용

비고

6

KBO 리그 출범 시 구단 수

 

44

KBO 리그 44번째 시즌

2025년

299

2025 KBO 리그 매진 경기 수

9.11 현재/진행중

1982

KBO 리그 출범 연도

 

2015

10개 구단 체제 시작

 

15,875

1982년 개막일부터 2억 관중 달성까지 소요된 일수

9.11 현재

23,511

1982년부터 치른 정규시즌 경기 수

 

165,276

1일 최다 관중

2025.5.17/10경기

1,438,768

1982년 KBO 리그 최종 관중 수

 

1,473,262

구단 한 시즌 최다 관중

2025년 삼성/진행중

11,159,737

단일 시즌 최다 관중

2025년/진행중

200,000,781

1982년부터 정규시즌 누적 관중 수

9.11 현재

 

[Copyright ⓒ KBO 홈페이지 뉴스, 기사, 사진은 KBO 홈페이지 자료 입니다. 무단전재 및 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으며 무단전재 및 재배포시 법적인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