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치클락
불필요한 시간 지연을 최소화하여 더욱 박진감 넘치는 경기 제공
|
2025 시즌 변경 사항 |
· 항목별 시간·횟수를 전년 대비 완화 적용하여 정식 도입
- 투·포수 위반 시 볼, 타자 위반 시 스트라이크
· 투수판 이탈 제한 미적용
- 주자 있을 때 투수판 이탈에 해당하는 행위를 하는 경우 계측을 멈추고,
경기 재개 준비 완료 시 계측 재시작
- 주자 있을 때 단순 발 풀기 등 특별한 상황이 없는 경우 즉시 재시작
- 주자 없을 때 투수판 이탈에 해당하는 행위를 하여도 계측을 멈추지 않음
- 주자 없을 때 심판에게 타임을 요청해 받아들여지는 경우에만 계측 중지, 이후 재설정
· (퓨처스) 2024 시즌 규정 유지 (단, 이닝교대와 투수교체는 2분 10초 적용)
- 이 외 항목별 시간, 투수판 이탈 제한 3회, 타자의 타임 요청 1회 허용 등 유지
|
항목별 적용 시간 |
투수교체, 이닝교대 |
2분 10초 |
투수교체, 이닝 교대 시간 |
위반 시 볼
투수는 피치클락의 시간 만료(0초 표기) 전까지 타자에게 투구하는 자연스러운 동작을 시작해야 함
|
투수 및 포수 |
33초 |
타석 간 시간 |
25초 |
주자 있을 시 투구 시간 |
20초 |
주자 없을 시 투구 시간 |
9초 |
9초가 표기된 시점에 포수석에 위치해야 함 |
위반 시 볼 |
타자 |
8초 |
8초가 표기된 시점에 양 발을 타석에 두고 타격 준비를 완료해야 함 |
위반 시 스트라이크 |
마운드 방문: 30초
※ 퓨처스리그에서는 33초 대신 30초, 25초 대신 23초, 20초 대신 18초를 적용
|
타자의 타임 요청 |
타자의 타임 횟수 제한: 타석당 2회 (퓨처스 1회)
- 타자가 세번째(퓨처스 두번째) 타임을 요청을 하고 타석을 벗어나면 스트라이크 부과
|
포수의 수비 사인 |
주자가 있는 상황에서 포수는 피치클락에 9초 이상 남아있을 때 포수석을 벗어나 수비 사인을 보낼 수 있고 이 때 계측은 중지됨 (포수가 위치로 복귀할 때 25초로 재설정)
- 9초 미만일 때는 심판에게 타임을 요청하고 그 요청이 받아들여져야 함
주자가 없을 때는 심판에게 타임을 요청해 받아들여지는 경우에만 계측이 중지됨
※ 포수가 아닌 선수가 수비 사인을 내는 경우, 주자의 유무와 관계없이 심판에게 타임을 요청해 받아들여지는 경우에만 계측이 중지됨
|
계측 시작 기준 |
투구 간 |
투수가 공을 소유하고 포수와 타자가 더트써클 내에 위치하고 있을 때 |
타석 간 |
이전 플레이의 결과가 선언되었을 때
- 볼넷의 경우, 타자가 1루주자로서 준비를 마쳤을 때
- 외야에서 잡힌 타구는 공이 내야로 돌아왔을 때
- 타자 주자가 2루에서 타석을 마친 경우, 보호장비를 벗어 주루 코치나 배트 보이/걸에게 전달했을 때
- 투수가 수비로 인해 마운드를 떠났던 경우, 마운드로 돌아왔을 때
|
이닝 교대 |
이전 이닝의 마지막 아웃이 선언되었을 때 |
투수교체 |
구원 투수가 워닝 트랙을 넘어설 때 *단, 구장별 차이 有 |
마운드 방문 |
감독 또는 코치가 덕아웃을 떠나거나 포수가 더트써클을 벗어나고, 심판이 마운드 방문 요청을 받아들였을 때 (1, 3루 파울라인을 넘어설 때)
|
볼 데드 상황 이후 |
①투수가 공을 소유하고,
②포수와 타자가 더트써클에 위치하며,
③야수가 제자리에 위치하고,
④주자가 베이스로 복귀하고,
⑤경기가 재개될 준비가 되었을 때
|
연습투구 |
· 이닝 교대 또는 투수교체 시간이 최소 33초가 남아있을 때 마지막 연습투구 동작에
들어가야 함
- 33초 미만인 상태에서 추가 연습투구를 시도하면 볼 선언
· 이닝 교대 및 투수교체 후 첫 투구는 광고 송출 보장을 위해, 20초가 남아있을 때까지 투구를 시작해서는 안됨
|
심판의 권한 |
· 심판은 피치클락의 계측 시작, 종료 또는 재설정에 대한 최종 권한을 갖고 있음
· 심판은 재량에 따라 특수 상황에 따른 조정을 결정할 수 있음
- 이닝의 첫 타자가 외야수 또는 포수인 경우, 루상에서 이닝을 마친 포수가 장비
착용 시간이 충분하지 않거나, 부상 또는 의학적 문제로 선수에게 추가적인
시간이 필요한 경우, 피치컴 장비 고장과 같이 불가피한 상황 등
|
피치클락 규정 회피 시도 |
선수나 감독·코치가 고의로 피치클락 규정의 적용을 모면하거나 회피하려고 했다고
심판이 판단한 경우 볼/스트라이크가 부과됨
|
피치클락 장비 고장 시 |
· 외야 피치클락 또는 2개의 내야 피치클락이 모두 고장으로 활용 불가시에는 피치클락 규정을 적용하지 않음
- 내야 피치클락 1개만 고장이고 나머지는 정상작동인 경우 진행 유지
· 경기중 수리가 완료되면 다음 회 초가 시작될 때 피치클락의 사용과 규정 적용 재개
|
투수판
이탈 제한
(퓨처스)
|
· 견제, 견제구 던지는 시늉, 주자 있을 때 투수판에서 발 빼는 경우
· 투수판 이탈 허용 횟수: 3차례까지 제약 없이 가능
· 어떠한 이유로든 주자가 다른 베이스로 진루 시 이탈 횟수 초기화
· 이 외 투수판 이탈 부과 상황
- 수비팀 타임 요청 시, 9초 미만 남았을 때 포수의 포수석 이탈 시,
9초 미만 남았을 때 투수의 새 공 요청 시
|
위반 시 보크 단, 네번째(혹은 그 이상) 이탈의 결과로 아웃을 기록하거나 주자가 진루할 경우 보크 부과되지 않음 |
구분 |
KBO 리그 |
퓨처스리그 |
투수교체 시간 |
2분 10초 |
2분 10초 |
이닝 교대 시간 |
2분 10초 |
2분 10초 |
타석간 시간, 이닝 교체, 투수교체 시 마지막 준비 투구 실시 |
33초 |
30초 |
주자 있을시 투구 시간 |
25초 |
23초 |
주자 없을시 투구 시간 |
20초 |
18초 |
포수는 9초가 표기된 시점에 포수석에 위치하고 있어야 함 |
9초 |
9초 |
타자는 8초가 표기된 시점에 타석에 들어서 타격준비를 완료해야 함 |
8초 |
8초 |
투수는 피치클락이 만료되기 전까지 타자에게 투구하는 자연스러운 동작을 시작해야 함 |
0초 |
0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