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구 기록법 소개
스코어 북 (Score book) - 스코어 북의 공식기록 부호
01. 수비위치의 기호 (포지션 표시번호)
야수(Player)의 수비위치에 따른 기호는 다음과 같이 숫자를 이용해 표기한다.
수비위치 기호
기호 |
수비위치 |
영문표기(略語) |
1 |
투 수 (投 手) |
Pitcher (P) |
2 |
포 수 (捕 手) |
Catcher (C) |
3 |
1 루 수 (一壘手) |
First Baseman (1B) |
4 |
2 루 수 (二壘手) |
Second Baseman (2B) |
5 |
3 루 수 (三壘手) |
Third Baseman (3B) |
6 |
유 격 수 (遊擊手) |
Short Stop (SS) |
7 |
좌 익 수 (左翼手) |
Left Fielder (LF) |
8 |
중 견 수 (中堅手) |
Center Fielder (CF) |
9 |
우 익 수 (右翼手) |
Right Fielder (RF) |
D |
지명타자 (指名打者) |
Designated Hitter (DH) |
*대주자(代走者:PR)―Pinch Runner, 대타(代打:PH)―Pinch Hitter
02. 타자 및 투수명 기입에 관한 기호
타자명 기입
예)
타자명 기입
자살 |
보살 |
실책 |
수비위치 |
팀 명 |
공격 |
|
|
|
6 |
박 기 혁 |
1 |
|
|
|
|
|
11 |
|
|
|
|
|
21 |
|
|
|
4 |
조 성 환 |
2 |
|
|
|
打 |
김 현 수 32 |
12 |
|
|
|
|
|
22 |
|
|
|
3 |
박 정 권 |
3 |
|
|
|
3 |
최 희 섭 54 |
13 |
|
|
|
|
|
23 |
|
|
|
D |
홍 성 흔 |
4 |
|
|
|
走 |
이 종 욱 85 |
14 |
|
|
|
|
|
24 |
[옆의 설명]
6 : 1번타자 유격수 박기혁
4 : 2번타자 2루수 조성환
打 : 대타 김현수 (3회 2번타자 때)
3 : 3번타자 1루수 박정권
3 : 1루수 교체 최희섭 (5회 4번타자 때)
D : 4번 지명타자 홍성흔
走 : 대주자 이종욱 (8회 5번타자 때) 이라는 뜻.
투수명 기입
예)
승패 |
투 수 |
투구횟수 |
|
윤 석 민 |
|
/3 |
|
김 광 현 75 |
|
/3 |
[옆의 설명]
선발투수 윤석민
구원투수 김광현 (7회 5번타자 때) 이라는 뜻.
03. 각 기록란의 상황기입
볼카운트 기록
* 볼카운트란은 투수가 투구한 내용을 적는 곳으로 그 기호는 다음과 같다.
……… 그대로 보낸 스트라이크
……… 타자가 헛친 스트라이크 (파울팁 포함)
……… 번트 헛스윙
……… 파울 타구
……… 번트 파울 타구
……… 볼 (v : 12초룰 위반)
……… 타격완료
각 루간의 상황기록
- a : 본루와 1루사이에서 생긴 상황을 기록한다.
- b : 1루와 2루사이에서 생긴 상황을 기록한다.
- c : 2루와 3루사이에서 생긴 상황을 기록한다.
- d : 3루와 본루(홈)사이에서 생긴 상황을 기록한다.
아웃 및 출루 후 결과의 기록
타구의 종류 및 방향
① 플라이(Fly) 타구는 F 또는 ◠ 로 기록한다.(F로 기록할 때는 플라이 아웃일 경우에만 사용한다.
② 땅볼 타구(그라운더 : Grounder)는 ◡ 로 기록한다.
-
유격수 앞 땅볼 타구
③ 직선 타구(라인 드라이브 : Line drive)는 L 또는 ― 로 기록한다.(L은 타자가 아웃되었을 경우에만 사용한다.)
④ 번트 타구(Bunt)는
로 기록한다.
-
투수 앞 번트 타구
⑤ 타구의 방향은 수비하는 야수의 전후, 좌우에 점을 찍는 방법으로 기록한다.
-
좌익수의 전후좌우 표시
송구의 기호
타자 출루의 여러 가지 기호
① 안타는 / 로 표기한다. (일반적 안타)
-
우익수 오른쪽에 직선 타구로 날아간 안타
② 내야안타는
로 표기한다.
-
3루수 오른쪽에 친 내야안타
③ 번트안타는
(번트내야안타)로 표기한다.
④ 2루타는 >로 표기한다.
⑤ 3루타는
로 표기한다.
-
우익수 오른쪽 선상으로 빠지는 3루타
⑥ 홈런은 ◊ 로 표기한다.
⑦ 실책은 E로 표기한다.
-
유격수 앞 땅볼 타구를 유격수가 실책
타자주자가 1루에 출루함. (실책표기 E는 야수의 숫자 앞에 적는다.)
-
유격수 앞 땅볼 타구를 유격수가 잡아 1루에 송구 했으나 1루수가 이를 놓쳐(포구실책) 타자주자 살림. (송구자가 아닌 포구자가 실책을 했을 경우에는 E 표기를 야수의 숫자 뒤쪽에 적는다.)
-
2루수가 라인 드라이브성 타구를 잡다 놓쳐 타자주자가 1루에 출루
-
우익수가 플라이 타구를 잡다가 놓침.
-
1번타자 우익선상 안타로 2루 출루
2번타자 유격수 앞 땅볼 타구 때 3루에 송구, 3루수가 2루주자를 아웃시키기 위해 2루에 송구했으나 악송구가 되어 2루주자 3루까지 진루(2명 이상의 야수가 관여한 플레이에서 마지막 송구자가 실책을 했을 경우 실책 E 표기를 송구자 뒤에 적는다.)
-
포수가 타자가 친 파울 플라이 타구를 잡다가 놓침. (타자가 출루를 하지 않은 경우에도 파울 플라이 타구를 야수가 잡다 놓쳤을 경우에는 실책 E로 기록한다.)
⑧ 사구(死球 : Hit by a pitched ball)는 HP로 표기한다.
⑨ 4구(四球 : Base on balls)는 B로 표기한다.
⑩ 야수선택(Fielder's choice)에 의한 타자출루는 F.C로 표기한다.
⑪ 타격방해(Interfere)에 의한 출루는 #로 표기한다.
⑫ 주루방해(Obstruction)에 의한 출루는 Ob로 표기한다.
⑬ 타자의 타구로 선행주자가 아웃되고, 타자주자만 1루에 출루하게 된 경우에는 타구가 날아간 상황만을 기록한다.
⑭ 스트라이크 아웃 낫아웃에 의한 출루는 다음과 같이 기록한다.
-
낫아웃 상황 때 와일드피치에 의해 1루 출루 (루상의 주자는 와일드피치에 의한 진루로 기록)
-
낫아웃 상황 때 패스트볼에 의해 1루 출루 (루상의 주자는 패스트볼에 의한 진루로 기록)
-
낫아웃 상황 때 포수의 송구를 1루수가 놓쳐 1루에 출루 (루상의 주자는 야수선택 또는 야수실책에 의한 진루로 기록)
타자 아웃의 여러 가지 기호
① 스트라이크 아웃 K로 표기한다.
스트라이크 아웃 낫아웃(Not out) 상황은
로 표기한다.
쓰리번트(Three bunt) 아웃은
로 표기한다
② 플라이 타구로 아웃되었을 때에는 F로 표기한다.
-
좌익수 플라이 아웃
파울 플라이 아웃은 f로 표기한다.
-
포수 파울 플라이 아웃
인필드 플라이는 IF로 표기한다.
-
2루수 인필드 플라이로 아웃
③ 직선 타구(라인 드라이브)로 아웃되었을 때에는 L로 표기한다.
-
3루수 라인 드라이브 아웃
④ 디플렉트 된 라인 드라이브 타구 아웃 표기법
⑤ 파울 지역의 포구로 선언된 라인 드라이브 타구 아웃의 표기법
-
1루수 파울 라인 드라이브 아웃
⑥ 희생번트로 아웃된 경우는
로 표기한다.
-
투수 앞 희생번트로 타자주자는 1루에서 아웃
⑦ 희생플라이로 아웃된 경우는
로 표기한다.
-
중견수 희생플라이로 타자 아웃
⑧ 타자가 타구에 닿아 아웃되었을 때에는 𝑥로 표기한다
주자가 타구에 맞아 아웃되었을 경우에는 X로 표기한다.
⑨ 태그 아웃된 경우는 T로 표기한다.
⑩ 야수가 직접 루에 터치하여 아웃시켰을 경우에는 A, B, C, D(H)를 이용해 표기한다.
-
1루 - A로 표시 2루 - B로 표시
3루 - C로 표시 본루 - D 또는 H로 표시
1루수 앞 땅볼을 1루수가 잡아 1루에 베이스 터치해 타자주자를 아웃시킴.
-
1번타자는 사구로 출루
2번타자의 2루수 앞 땅볼을 2루수가 잡아 2루에
베이스 터치해 1루주자를 포스 아웃시킴.
-
주자 1,2루 때 3루수가 타자의 3루 땅볼을 잡아 3루에 베이스 터치해 2루주자를 포스 아웃시킴. (투아웃)
-
주자 만루 때 포수가 타자의 타구를 잡아 본루에 베이스 터치해 3루주자를 포스 아웃시킴. (쓰리아웃) (2D로도 표기 가능)
⑪ 더블플레이(병살 : Double play)는 { 또는 ((로 표기한다.
-
1번타자는 4구로 출루
2번타자의 2루수 땅볼을 2루수가 잡아 유격수에
송구해 1루주자를 2루에서 포스 아웃(제1아웃) 시킨 후 유격수가 다시 1루수에 송구해 타자주자도 1루에서 아웃(제2아웃) 시킴.
-
1번타자는 3루수 실책으로 출루
2번타자는 사구로 출루, 1루주자는 2루까지 진루3번타자의 3루수 앞 땅볼을 3루수가 잡아 3루에 베이스 터치해 2루주자를 3루에서 포스 아웃(제1아웃) 시킨 후 3루수가 다시 1루수에 송구해 타자주자도 아웃(제2아웃) 시킴.
⑫ 일리걸리 플레이(규칙위반행위 : Illegally play)로 타자가 아웃된 경우는 IP 또는 2T를 이용해 표기한다.
-
타자가 타격을 함에 있어 규칙위반 및 반칙행위에 해당하는 경우
1) 타자가 한발 또는 양발을 완전히 타자석 밖에 두고 타격을 했을 경우
2) 투수가 투구할 준비동작에 들어갔을 때 타자가 한쪽 타자석에서 다른 쪽 타자석으로 옮겼을 경우
3) 타자가 어떤 방법으로든 공의 비거리를 늘리거나 이상한 반발력이 생기도록 개조ㆍ가공하였다고 심판원이 판단하는 방망이를 쓰거나 쓰려했을 경
-
수비방해 등 심판원의 선언으로 아웃이 되거나 부정위타자 아웃 등 플레이상 문제로 아웃된 경우 1) 타자가 타자석을 벗어남으로써 포수의 수비나 송구를 방해하였을 경우 또는 어떠한 동작으로든 본루에서의 포수의 플레이를 방해하였을 경우
주자 진루의 여러 가지 기호
① 후속 타자의 도움에 의한 진루는 ( )를 이용해 표기한다. 단, ( )안의 표기는 漢文을 사용한다.
-
중견수 앞 안타로 출루하여 4번타자의 도움으로 2루에 진루. 5번타자의 도움으로 3루에 진루하였을 경우의 기록법
-
좌익수 앞 안타로 출루한 1번타자가 2번타자의 2루수 앞 땅볼 아웃을 이용해 2루로 진루한 경우
-
4구로 출루한 1번타자가 2번타자의 우익수 앞 안타를 이용해 2루에 진루한 경우
② 후속 타자의 도움에 의한 진루 결과, 주자가 득점을 하게 된 경우(타자의 타점)에는 ○를 이용해 표기한다. 단, ○안의 표기는 漢文을 사용한다.
단, 후속 타자의 도움으로 주자가 득점을 하게 되는 경우에도 타자의 타점으로 기록되지 않는 경우에는 ○가 아닌 ( )를 이용해 표기한다.
③ 도루에 의한 진루는 S를 이용해 표기한다.
더블스틸은
로, 트리플스틸은
로 표기한다.
-
1번타자는 좌익수 앞 안타로 출루
2번타자는 4구로 출루 (주자 1,2루)
3번타자 타석, 볼카운트 1스트라이크 1볼 때 주자들 도루 시도 더블스틸 성공 (주자 2,3루)
3번타자도 4구로 출루 (주자 만루)
4번타자 타석, 초구 볼 때 3명의 주자들 도루 시도 트리플스틸 성공
(3루주자 → 득점, 2루주자 → 3루, 1루주자 → 2루로 진루)
도루실패(도루자)는 C․S(Caught stealing)를 이용해 표기한다
더블스틸 또는 트리플스틸 실패를 이용해 진루한 주자는 , 에 ○를 씌워 표기하거나 또는 ( )를 이용해 표기한다.
-
1) ○를 이용한 표기
1번타자 사구로 출루
2번타자 4구로 출루 (주자 1,2루)
3번타자 타석, 볼카운트 1-1에서 주자들 더블스틸 시도
2루주자는 포수의 송구를 받은 3루수에 의해 태그 아웃됨. (도루실패)
1루주자의 2루 진루 표기를 도루는 인정되지 않고 도루실패를 이용해 진루한 것으로 기록한다.
-
2) ( )를 이용한 표기
1루주자의 2루 진루 표기를 도루실패가 발생된 플레이를 이용해 진루한 것으로 기록한다.
④ 와일드피치(폭투 : Wild Pitch)에 의한 진루는 W로 표기한다.
와일드피치에 의해 두 명 이상의 주자가 동시에 진루한 경우, 본루에서 가장 가까운 주자를 제외한 뒷주자의 진루표기는 ( )를 사용해 기록한다.
(두 명 이상의 주자가 동시에 진루하게 되는 경우, 한 명의 주자를 제외한 나머지 주자의 진루상황에 ( )를 사용하는 경우는 W(폭투) 외에도 E(실책), P(포일), BK(보크) 등이 발생했을 때에도 똑같이 기록한다.)
⑤ 패스트볼(포일 : Passed Ball)에 의한 진루는 P로 표기한다.
⑥ 보크(Balk)에 의한 진루는 BK로 표기한다.
⑦ 타자의 타격방해 출루로 인해 밀려가는 주자의 진루 표기방법은 다음과 같다.
-
1) 일반적 진루 표기
1번타자 4구로 출루
2번타자 포수 타격방해로 출루, 1루주자는 2루로 진루
이때 2루로 밀려서 진루하는 주자의 진루는 다음 타자의 도움(二)이 아닌 포수실책(E2)에 의한 진루로 기록한다.
-
2) 득점이 되는 경우의 진루 표기
1번타자 좌익수 앞 안타로 출루
2번타자 중견수 앞 안타로 출루 (주자 1,2루)
3번타자 우익수 앞 안타로 출루 (주자 만루)
4번타자 포수 타격방해로 출루 (각 주자는 1개루씩 진루) 이때 밀려서 득점하게 되는 3루주자는 4번타자의 타점으로 인정되기 때문에 타점 표기방법으로 기록하고, 나머지 주자의 2루와 3루 진루는 포수실책(E2)에 의한 진루로 기록한다.
플레이의 연속을 나타내는 기호
어떠한 플레이가 한 개 루에 그치지 않고 그 이상 연속해서 일어났을 경우, 즉 플레이의 연장 또는 플레이의 연속성을 나타내야 할 경우에는 화살표(→)를 사용해 표기한다.
-
유격수 땅볼을 유격수가 실책하는 사이 타자주자가 2루까지 진루
-
좌익수 앞 안타로 1루에 출루한 타자주자가 좌익수가 그 타구를 실책하는 사이에 계속해서 2루까지 진루
-
1번타자 4구로 출루
2번타자 우익수 쪽 안타로 출루
이때 1루주자는 2루를 돌아 3루까지 진루하려다
우익수의 송구를 받은 3루수에 의해 3루에서 태그 아웃됨.
-
1번타자 좌중간 2루타로 출루
2번타자 우익수 쪽 안타로 출루
이때 2루주자는 3루를 돌아 홈까지 진루하려다
우익수의 송구를 받은 포수에 의해 홈에서 태그 아웃됨.
그 사이에 우익수 쪽 안타로 출루한 타자주자는 2루까지 진루
-
1번타자 유격수 내야안타로 출루
2번타자 우익수 쪽 2루타를 치고 출루
이때 1루주자는 2루와 3루를 돌아 홈까지 진루하려다
우익수-2루수-포수로 이어진 중계플레이에 의해 홈에서 태그 아웃됨.
기타기호
① 플레이 발생시기를 나타낼 경우는 체크 ‘―’ 를 이용해 볼카운트란에 표기한다. (도루, 폭투, 포일, 보크, 야수의 송구 등이 일어난 시기를 표시하기 위한 기호이다.)
-
1번타자 4구로 출루
2번타자 타석, 볼카운트 2-2에서 1루주자가 2루에
도루 성공 (도루 시도 시기를 ―를 이용해 볼카운트란에 표기한다.)
-
1번타자 좌익수 쪽 안타로 1루 출루
2번타자 타석, 볼카운트 0-3에서 1루주자가 포수의 송구에 의해 1루에서 태그 아웃당함. (포수의 송구가 이루어진 시기를 ―를 이용해 표기)
② 투수가 루상의 주자를 견제하기 위한 투수 견제구의 기호는 다음과 같다.
1루주자의 견제는
, 2루주자의 견제는
, 3루주자의 견제는
(볼카운트란에 표기)
(단, 이 기호는 주자가 견제구로 아웃되었거나 또는 야수의 실책으로
아웃되지 않았거나 또는 견제구를 이용해 그 주자나 다른 주자가 다음 루로 진루했을 경우에만 기록한다.)
-
1번타자 4구로 출루
2번타자 때 볼카운트 0-1에서 투수가 1루에 견제구를 던져 1루주자를 태그 아웃시킴.
-
1번타자 좌익수 쪽 2루타로 출루
2번타자 때 초구 던지기 전, 투수가 2루에 견제구를 던져 2루주자를 태그 아웃시킴.
-
1번타자 우중간 3루타로 출루
2번타자 때 볼카운트 2-0에서 투수가 3루에 견제구를 던져 3루주자를 태그 아웃시킴.
-
1번타자 4구로 출루
2번타자 때 초구 전, 투수가 1루에 견제한 것이
악송구가 되어 1루주자 2루까지 진루 (진루의 경우)
-
1번타자 4구로 출루
2번타자 때 초구 전, 투수가 1루에 견제구를 던졌으나 1루수가 이를 놓쳐 1루주자 세이프 (귀루의 경우)
③ 이닝의 종료는 // 를 이용해 표기한다.(해당 이닝 마지막 타자의 다음 타자 기록란에 // 로 표기)
-
3번타자 삼진으로 제3아웃, 이닝이 끝남.
4번타자 기록란에 // 로 표기
-
6번타자는 중전안타로 출루
7번타자 때 볼카운트 0-1에서 1루주자가 2루에서 도루실패로 제3아웃이 되어 이닝이 끝남.
(7번타자의 공격 중에 제3아웃이 되었지만 7번타자는 타격을 완료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 이닝의 마지막 타자가 될 수 없다.)
④ 타자주자 또는 주자의 루 공과 등으로 인한 안타(루타수)의 취소 기호는 다음과 같다. (기록된 안타 기호에 짧게 두 줄을 그어 취소상황을 표시한다.)
-
좌월 2루타를 치고 2루까지 진루했으나 타자주자가 1루를 공과해 어필 아웃됨 (안타 취소의 경우)
-
좌중간 3루타를 치고 3루까지 진루했으나 타자주자가 2루를 공과해 어필 아웃됨 (루타수 취소의 경우)
-
1번타자 4구로 출루
2번타자가 중월홈런을 쳤으나 1루주자가 2루를 공과해 어필 아웃됨 (주자에 의한 안타 취소의 경우)
⑤ 타자일순 때의 기록방법
선수교대의 기호